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8

아라키스: 빼앗긴 목소리 Arrakis 아라키스: 빼앗긴 목소리 Arrakis Italy / 2008 / 23' / Documentary / 12세 관람가 키워드: 건강,기업,대기,쓰레기,오염,인권,자연 풍경,환경 질환,환경교육,환경운동,환경정치 Synopsis이탈리아 산업 발전의 피해자와 피해 지역에 바치는 시적인 다큐멘터리. 영화는 문을 닫은 공장을 배경으로, 산업 질병 때문에 목소리가 바뀐 사람들을 소개한다. 영화는 브레다 주물 공장의 노동자였던 실베스트로 카펠리의 새된 목소리로, 석면 노출로 인해 생긴 종양 때문에 후두절제술을 받은 세스토 산 지오바니의 투쟁을 그린다. 그는 무심한 시민들과 관련 기관을 상대로 사회적인 투쟁과 법적 싸움을 벌이고 있다. 카펠리는 호소한다.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아무도 말하지는 않는다. 노조도 알.. 2014. 10. 8.
신성한 씨앗 Sin Maiz No Hay Pais: The Seeds of Dignity 신성한 씨앗 Sin Maiz No Hay Pais: The Seeds of Dignity France / 2008 / 42' / Documentary / 12세 관람가 키워드: 농업,문화인류학,생물종 다양성,생태계,토착,환경운동 Synopsis 멕시코 시에라 노르테 드 푸에블라 지역의 토종 옥수수 지대를 지키기 위한 투쟁을 다룬 작품. 이 지역 농민들과 인디언 원주민들은, ‘신성한 씨앗’으로 여겨지는 옥수수를 함께 지키고 보존하겠다는 신념을 공유하고 있다. 옥수수는 그들의 정체성 유지와 경제적, 사회적인 요구를 위한 투쟁의 대상이자, 환경과 식품 자주권을 쟁취하기 위해 군사 행동까지 불사하게 만드는 중요한 작물이다. Director 조너선 카디오, 아서 리플레 파리의 소르본 대학에서 지리학을 전공. 그의.. 2014. 10. 8.
숨 쉴 곳 없는 No Breathe 숨 쉴 곳 없는 No Breathe Italy / 2008 / 30' / Documentary / 12세 관람가 키워드: 건강,대기,독성물질,쓰레기,오염,환경 질환 Synopsis 이탈리아 캄파니아 주 쓰레기장 한복판으로 떠나는 여행. 나폴리의 외곽 지역인 피아누라, 타베르나 델 레, 몬테루스첼로는 불법 투하로 산처럼 쌓인 쓰레기, 토양 오염, 다이옥신 같은 치명적인 물질들의 유입 등으로 최악의 환경 재난 사태를 겪고 있다. 방송용 카메라로 단시간에 촬영된 이 작품은 유투브 등 인터넷을 통해 널리 퍼진 뒤, 영화제들을 거치면서 후반작업을 진행해 지금의 극장용 다큐멘터리로 완성되었다. 영화는 마스크를 쓴 여성이 바그놀리 부두 한복판을 걸어오는 마지막 장면에서 절정에 이른다. 관객을 압도하는 초현실적인 황록.. 2014. 10. 8.
소녀와 소녀의 휴대폰 A Green Good-bye: She & Her Mobile 소녀와 소녀의 휴대폰 A Green Good-bye: She & Her Mobile Korea / 2009 / 23' / Fiction / 12세 관람가 키워드: 재활용,환경교육 Synopsis소녀와 삼 년 반을 함께 한 휴대폰은 소녀의 고집스러운 성격과 늦잠에 불만을 터뜨리기도 하지만 소녀를 내심 좋아하고 있다. 어느 날 소녀는 헌책방에서 일하는 대학생에게 첫눈에 반하고, 소녀가 누군가를 좋아하게 되면서 점점 소외감을 느끼는 휴대폰은 질투를 하는데… * SK텔레콤, 조인스닷컴,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가 공동 진행한 폐휴대폰 수거 캠페인에서 수거된 폐휴대폰 매각 금액으로 제작된 작품 * 기획·제공: 환경재단, 그린 아카이브, 서울환경영화제 Director 민동현서울예대 영화과를 졸업한 후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 2014. 10. 8.
세상에서 가장 운 좋은 땅콩 The Luckiest Nut in the World 세상에서 가장 운 좋은 땅콩 The Luckiest Nut in the World UK / 2002 / 24' / Animation / 12세 관람가 키워드: 공정 거래,교통 운송,농업,먹을거리,유머,음악 Synopsis 흥겨운 음악과 함께 관객들에게 세계무역자유화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캐슈와 브라질 호두, 땅콩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미국 땅콩은 다른 개발도상국에서 온 땅콩들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노래를 부른다. 그러나 미국에서 땅콩은 관세를 통해 보호받고 장려금을 통해 지원되며 해마다 미국 경제에 40억 달러 이상의 가치를 남긴다. 과연 세계에서 가장 운 좋은 땅콩이라 할 만하다. 영화는 ‘자유시장’ 경제를 둘러싸고 있는 압력들과 함께, 부의 창출과 풍부한 수출 시장.. 2014. 10. 8.
섬의 하루 One Day of the Peace Island 섬의 하루 One Day of the Peace Island Korea / 2008 / 42' / Documentary / 12세 관람가 키워드: 바다,보존,산호초,어업,환경운동 Synopsis 이른 새벽, 자리잡이 어선이 바다로 향한다. 배가 그물을 내리고 자리가 들기를 기다리고 있을 즈음, 해녀들은 성게 잡이를 위해 바다 속으로 들어간다. 서귀포 앞바다 범섬에서는 관광객이 스킨스쿠버 체험을 하고 있다. 서귀포 앞 바다에서 생활하는 이들의 평범한 하루가 지나고 또 다른 하루가 시작된다. 이들은 평소와는 다른 모습으로 제주도청 앞에서 해군기지 건설 반대 구호를 외치며 하루를 보낸다. Director 양동규제주대학교 졸업. 5년 동안 제주참여환경연대에서 활동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2007)와 (2008).. 2014. 10. 8.
석유의 묵시록? PetroApocalypse Now? 석유의 묵시록? PetroApocalypse Now? UK / 2008 / 48' / Documentary / 12세 관람가 키워드: 기업,기후 변화,석유,소비,신재생 에너지,에너지,지구 온난화,지속가능성,탄소,환경정치 Synopsis석유는 정말 고갈되기 시작한 것일까? 4년에 걸쳐 13개국에서 촬영된 이 작품은 석유 논쟁의 양편에 선 30여명의 유력 인사들을 통해 ‘석유 생산 정점’ 이론의 실상을 폭로하고, 석유의 종말에 대해 재고한다. 석유 생산을 늘리려면 OPEC으로 알려진 13개 주요 석유 생산국 그룹의 결정이 필요하지만, OPEC은 실제로 그럴 만한 능력이 있을까? 그들은 과연 자신들이 장담하는 만큼의 석유를 보유하고 있는 것일까. 쿠웨이트로 찾아간 영화는 현재 알려진 전세계 석유 가채량이 실제.. 2014. 10. 8.
생물연료와 오랑우탄 Choose the Right Biofuel or the Orang Utan Gets It! 생물연료와 오랑우탄 Choose the Right Biofuel or the Orang Utan Gets It! UK / 2008 / 1' / Fiction / 12세 관람가 키워드: 기후 변화,나무,동물,멸종,보존,삼림,생물종 다양성,생태계,야생,에너지 Synopsis생각해보자. 친환경 연료를 만들기 위해 열대 우림을 모두 없애버린다면, 그래서 오랑우탄 같은 동물들의 집이 모두 사라진다면… 생물연료 사용으로 지구를 구하기에 앞서, 숲의 파괴로 증가한 온실가스가 더 빠른 종말을 불러 올 것이다. Director 그린피스 영국 2014. 10. 8.
생명의 물방울 A Drop of Life 생명의 물방울 A Drop of Life USA / 2007 / 16' / Fiction / 12세 관람가 키워드: 건강,기업,농업,동물,빈곤,소비,인권,자연 재해,환경교육,환경운동 Synopsis 수자원 민영화가 초래할 비극을 SF 장르를 통해 감각적으로 그려낸 작품. 가까운 미래의 인도, 공통점도 연관성도 전혀 없어 보이는 시골 마을 여선생과 전도 유망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이 깨끗한 물을 얻기 위해 대립한다. 도시를 떠나 시골마을 쿠치로 내려와서 아이들을 가르치던 여교사 미라바이는, 하이드론사(社)의 ‘선불 신용카드로 결제 가능한 물 펌프’가 설치된 후 질병에 시달리는 마을 아이들이 점점 늘어나는 것을 보고 행동에 나선다. 반면 뉴욕에서 활동하는 젊은 변호사 니아는 하이드론사와 인도 정부와의 수자.. 2014. 10. 8.
상어는 억울하다 Rethink the Shark 상어는 억울하다 Rethink the Shark South Africa / 2007 / 3' / Fiction / 12세 관람가 키워드: 동물,바다,보존,야생,환경교육,유머 Synopsis해수욕을 즐기는 많은 인파로 가득 찬 평화로운 해변가. 갑자기 겁에 질린 한 여성이 비명을 지르며, 황급히 육지로 헤엄쳐 나온다. 다른 사람들 역시 서둘러 물 밖으로 빠져 나오고 해변은 아수라장이 된다. 그러나 관객이 발견한 것은 물 위에 둥둥 떠있는 의자 하나. 매년 652명의 사람들이 의자 때문에 사망하지만 반면 상어로 인한 사망자는 단지 4명뿐 이라면, 상어에 대한 오해는 풀려야 하지 않을까? www.saveourseas.com/ 3부작으로 구성되 있으며, 각 1분의 작품임. Director 에리카 브뤼마쥬영화이론.. 2014. 10. 8.
빌 매든의 그린 뮤직 Gone [Bill Madden] 빌 매든의 그린 뮤직 Gone [Bill Madden] USA / 2006 / 3' / Music Video / 12세 관람가 키워드: 건강,대기,독성물질,동물,오염,음악 Synopsis 환경 파괴에 대한 상징적 경고를 담은 영상과, 활동가 뮤지션 빌 매든의 음악이 어우러진 뮤직비디오. 호소력 짙은 영상과 시적인 가사를 통해, ‘살아 있다는 것은 무엇이며, 환경 변화가 초래할 결과는 무엇인지’ 관객에게 되묻는 한 편, 아직 시간이 남아 있을 때 기후 변화를 저지하기 위해 실천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Director 앤드류 왓슨 촬영 감독이자 멀티미디어 프로듀서. 인디펜던트 필름 채널(The Independent Film Channel)이나 NBC 등의 주요 네트워크의 작품에 참여하고 있으며 비영.. 2014. 10. 8.
비닐봉지의 유혹 One Bag at a Time 비닐봉지의 유혹 One Bag at a Time Poland / 2008 / 8' / Documentary / 15세 관람가 키워드: 기후 변화,소비,쓰레기,오염,재활용,환경교육,환경운동 Synopsis 일회용 비닐봉지가 온 지구를 뒤덮고 있다. 물론, 비닐봉지의 편리성은 떨치기 힘든 유혹이다. 폴란드 우츠의 시민들은 유혹에 맞서 비닐봉지 사용 금지 운동을 시작한다. 찬성과 반대가 극명히 갈린 초창기와 달리, 시간이 흐르면서 사람들의 인식은 점차 변해간다. 영화에서는 ‘비닐봉지 없는 날’을 시행하는 첫 날의 모습과, 시민과 상인, 정치인들에게 운동의 필요성을 홍보한 후 6개월간의 변화를 담았다. ‘비닐봉지 없는 날’에 참여한 여러 사람들과의 인터뷰는 이 변화의 실체를 생생히 보여준다. Director 안.. 2014. 10. 8.